안녕하세요!
오늘도 FLEXO했다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오늘은 골판지박스의 두께와 접합방식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리는 생각보다 골판지박스를 접하는 일이 아주 많습니다.
앞에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요즘 택배 한번 안시켜 본사람 있을까요?
코로나시국이라 점점 택배거래가 늘어나고 있고, 꼭 택배거래가 아니어도
마트에서 과일채소를 살때나 물건이 많아서 마트에 비치된 박스를 이용할때 접하게 됩니다.
우리의 생각보다 골판지박스는 아주 가까이 있지요.
그런데, 어떤 택배를 시키면 박스가 가볍고
또 어떤 박스는 무겁고, 이런경우 보셨죠?
우리는 당연히 박스에 담는 제품 무게에 따라 박스도 그 힘을 받쳐줘야하기에 무게가 다를거란걸 알고있을거에요.
그러면 그 무게는 어떤힘으로 받쳐주느냐?
작은 물건임에도 고중량이 있을것이고
큰 물건임에도 저중량이 있을것입니다.
작고 무거운 물건을 큰 상자에만 넣는다고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는거죠!
그러면 어떻게 종이박스가 제품들의 힘을 버틸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원단두께(골)


종이에도 종류가 많고 같은 종류인데도 두께가 존재하지요?
공책에도 습자지처럼 얇아서 네임펜으로 글을 쓰면 뒷장까지 번지는 종이인경우,
스케치북도 물감을 사용하면 금새 종이표면이 일어나고, 축축해지는 경우 등등..
골판지박스에도 두께가 존재합니다.
두께를 만드는것은 '골'이구요.
예전에 얇은종이를 찢는것은 쉬운데
전화번호부책은 찢기 힘들다는 내용을 티비에서 보신적이 있을겁니다.
이는 종이가 여러장 겹쳐진 전화번호부는 힘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찢는데에 얇은 종이를 찢을때와는 다른
엄청난 힘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골판지박스의 '골'이 그런 역할을 하는것이지요

골판지는 표면지와 이면지 사이에 골심지가 있는 3겹구조가 대표적입니다.
골심지의 간격과 높이에 따라 골이 정해지는 것이구요.
이 3겹구조를 응용하여 좀 더 레벨업!한 골이 탄생하기도 합니다.
E골<B골<A골 순으로 물건을 담는 중량이 늘어납니다.
*E골은
밀도가 높아 보관에는 용이하지만 완충성능은 현저히 떨어지기에 3kg이내의 물건을 담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B골은
완충성능은 있지만, 물건을 완벽히 보호하기에는 많이 미흡해서 5kg이내의 물건을 담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A골은
가장 많이 쓰이는 포장박스로 일시적인 충격에 강하고 완충성능이 좋은편입니다.
10kg이내의 물건을 담을 때 주로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BA골 BB골 EB골 등은 위 E골 B골 A골을 합쳐 만든 구조로
과일상자나 무거운 공산품박스들을 담거나 적재할 때 상황에 맞게 사용됩니다.
>>접합방식
그런데, 무거운걸 튼튼한 상자에 담았는데, 그래도 종이인데 쏟아지거나 뜯어지지 않을까요?
두꺼운 상자에 담아도 이 상자가 잘 버텨줘야할텐데, 그 버티는 힘이 꼭 두께(골)에만 있을까요?
아닙니다.
박스란 일반 플라스틱통처럼 틀에 그대로 부어서 만든"통"의 형태가 아니고
종이원단을 절단하여 박스형태로 접어 만든 것이기 때문에 접합방식이 두께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접합방식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풀접착(풀발이)과 철접합(철박이)



위가 그 예시인데요, 둘 다 같은브랜드사과 10kg박스입니다.
그런데 왜 각자 접합방식이 다를까요?
그건 바로 단가 차이 때문입니다.
풀발이가 철박이보다는 저렴하기에 고객의 판단에 따라 접합방식을 정하는거죠.
단, 추후 상자가 터진다거나 하는 일에 대해서 잘 판단하고 결정해야겠죠?
사진을 자세히 보면 둘의 인쇄방식도 다릅니다.
위는 FLEXO인쇄이고 아래는 선명한느낌의 윤전인쇄입니다.
윤전인쇄도 FLEXO인쇄보다 단가가 쎕니다.
같은 브랜드의 박스인데도 저렴하게 진행했다가 고급스러운 버전으로 바꾸려는 고객도 있고,
반대로 고급스럽게 진행했다가 저렴하게 바꾸려는 고객도 있습니다.
골판지박스는 쉬운듯 알면 알수록 어렵지만 배워가는 재미가 있습니다.
흥미를 갖고 포스팅을 봐주시면 정말 기쁠 것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 마치겠습니다^^즐거운 금요일 되세요!
'골판지 인쇄배우기-실무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목형도면 알아보기 (1) | 2021.09.07 |
---|---|
5. 목형박스 알아보기 (0) | 2021.09.07 |
4. 조금 더 편하게, 골판지 박스의 감초들 (1) | 2021.09.06 |
3. 골판지박스의 형태 (0) | 2021.09.06 |
1. 얇은박스와 두꺼운박스는 어떻게 인쇄할까? (0) | 2021.09.02 |